![]() |
Process B가 물리 메모리 공간을 읽기만 한다면 계속 사용할 수 있으나, 문제의 주어진 상황처럼 메모리 주소에 대해 쓰기를 수행하였을 때에는, 해당 물리메모리 공간에 동일한 공간을 가리키고 있던 Process B의 페이지 테이블을 복사하여 만들어 다른 공간에 놓고 이후 동작을 수행하여(copy-on-write) 프로세스 B의 물리주소의 Pointer를 바꿔주면 된다. |
'Computer Science > OS(운영체제)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구 페이징 기법 (0) | 2021.11.07 |
---|---|
페이징 시스템(Paging System) (0) | 2021.11.07 |
가상메모리 (0)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