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Base/DBMS

1. DB와 DBMS why, type, purpose..., 사용되는 여러가지 절

DB란?

-서로 연관성(업무에 필요로 하는)을 가지며 중복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해야 할 유용한 데이터들의 집합(Database) ⇒ 대량 데이터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 위해

-예전에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했을 때의 단점들(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DB를 사용한다)

: 중복된 데이터 저장 빈번

: 대용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엔 역부족

: 다중 사용자 환경의 데이터 공유가 어렵다(Transaction)

: 보안에 취약

예시 : 엑셀로 고객관리 하는게 불편하고 너무 오래 걸리더라 (업무적으로 누적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싶다) → Access로 정리를 한 번 해준 경험

 


DBMS란 (DATABASE MANAGEMENT SYSTEM)

- DBMS (서버 : 끊임없이 요청을 받는, 독립적 IP, URL 주소를 가지고 있다)

- CRUD (DB의 90프로 이상이 CRUD 작업이다)

: 대용량의 데이터를 쉽게 저장, 효율적으로 검색, 수정, 삭제 DB없는 응용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는다 라고 생각

SQL을 이용하여 (DB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언어)

- 관계형 DBMS 가장기본단위 : Table (Java의 경우 class)

 

DBMS의 종류

: Oracle, mySQL, MS-SQL, Informix, Sybase, DB2 MariaDB 등..

- 사용 예시) 게시판, 쇼핑몰, 사원관리, 물류관리 등 관리하는 프로그램 짤 때 이용

 

DBMS 분류 (앞으로 NoSQL 시대? NO!, 관계형 DB, NoSQL 같이 간다 because 쓰이는 용도(정형, 비정형 데이터)가 다름

관계형 DB : 정형화 된 데이터 (2차원 배열 형식)

NoSQL - mongoDB : 비정형화 된 데이터

 

-관계형 DB(Relational DBMS)

모델링할 때 사용하는 언어

Column(Attribute) : 특성을 보여주는 제일 위에 한 줄

Row(Tuple) : 한 줄 개인 정보 하나하나

Primary Key : 식별자

Field : 값 한개 한개?

Table(Entry)

 


사용되는 여러가지 절

1. ORDER BY 절

: 정렬(SORT) 하기 위해서 컬럼명을 지정해주면 컬럼명을 기준으로 내림차순(ASC), 오름차순(Default)

2. WHERE 조건절

3. GROUP 절

4. HAVING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