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

(125)
데이터 모델링 (개념) 모델링 : 복잡한 엔터프라이즈 개념을 구체적을 업무활동에 대한 부분(결과)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든 것 -> 데이터 모델, 업무활동 모델 개념, 논리 모델로 부터 데이터 모델 완성 개념+논리-> 물리 모델을 완성함으로써 시스템 지향적인 데이터 모델 완성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아키텍처 관점에 의해서 아키텍처 레벨이 설정 관점의 깊이에 따라 프로덕트 깊이가 상세화 되는 구조
DBMS 1. 데이터 아키텍처에서 엔터티 유형의 친화성을 가지고 묶음화한 데이터 스토어를 기반으로 2. 데이터 스토어 목록을 작성하고 3. 그 목록에 따른 데이터 스토어에 대한 프로파일을 작성하여 ==> 데이터 스토어에대한 프로파일을 근거로 데이터에 대한 성격,특성을 가지고 DBMS를 결정 데이터 베이스 기술 환경 및 DBMS 선정을 위한 고려 사항 (Relational 모델에서 부터-> 계층DB, 네트워크DB ~~~) DBMS 구조
묶음화(친화도, 가치흐름, 직관) Clustering 기법 (친화도, 가치흐름, 직관)
Entity, 데이터, CRUD Matrix Entity 엔티티 : 비즈니스 개체 각각에 대한 표현 --> 엔티티 타입에 속하는 인스턴스 하나하나 Entity Type 엔티티 유형 : 개체에 대한 의미 정의 : 모든 개체 집합에 공통적 성격 정의, 및 속성, 관계를 적용 --> 기업이 자료로 저장, 관리하려는 대상으로 사람, 장소, 사건, 사물, 개념에 대한 범주로 엔티티 유형 정의 기업 데이터 정의 : 수행된 업무활동의 결과가 데이터, 데이터 간 서로 관계를 가지고 있다. : 친화적 데이터 묶음 -> DB : 데이터 형태(숫자, 문자, 문서, 이미지, 영상, 소리, 지도) --> 데이터는 비즈니스 활동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변화하고, 그리고 데이터는 또다른 비즈니스 활동에 의해 쓰여지기 때문에 작용적인 관계를 가짐(묶음화 될 수 있다) ==> 이상..
프로덕트 계층 구조 Framework > Architecture > Model > Diagram > Object(Module) Enterprise Architecture(EA) 1.What : 데이터 2.How : 기능 function 3.Where : 데이터가 존재하는 function이 실행되는 위치 네트워크 4.Who : function 수행하는 역할자 5.When : function 수행되는 시점 일정 6.Why : 수행되는 비즈니스 이유, motivation 1.Planner관점 : 데이터 아키텍처 2.개념적 모델 형성 3.설계자 입장에서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형성 4.기술자가 물리적 데이터 모델 (실질절 물질, 시스템 갖추는) 형성 5. 6. 실질적으로 움직이는시스템 메커니즘
4PMs : 방법론 구조
비즈니스 아키텍처->정보요구->엔터티 도출 비즈니스 아키텍처 - 전략 - 사명 - 목표 --> 비즈니스 아키텍처를 통해 정보 요구 도철 정보요구 ( 데이터, 상관관계, 활동 ) 정보 시스템 우선 순위를 가지고 정보 요구 순위 정의 하기 (긴급한 요구 부터 시스템화) 정보요구 우선순위 테이블로 부터 -> 엔티티 유형(Entity Type) 유추 해낼 수 있다. 비즈니스 활동(업무 기능)은 데이터에 작용하여 데이터 주제 영역과 엔터티 유형은 반드시 비즈니스 활동에 의해서 만들어져야하며 업무 기능에 의해서 변화하는 라이프 사이클